부산시가 신항만 등 일부 지역의 전력망을 지능형으로 바꾸는 이른바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도시' 구축에 나섭니다.
시가 본격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위한 시동을 건 것인데, 스마트그리드란 기존의 전력망에 IT(정보기술)를 접목해 전기 공급자와 수요자 간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 정보를 교환(시간대별로 다른 전기 요금 적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전기차 운행 등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 인프라입니다.
시가 본격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위한 시동을 건 것인데, 스마트그리드란 기존의 전력망에 IT(정보기술)를 접목해 전기 공급자와 수요자 간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 정보를 교환(시간대별로 다른 전기 요금 적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전기차 운행 등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 인프라입니다.
시는 최근 내부 검토를 통해 내년으로 예정된 정부의 스마트그리드 거점 지구 지정 사업에 응모하기로 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고 6일 밝혔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스마트그리드 구축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으며, 이 법률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총 27조 원을 투입해 국가 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완료한다는 로드맵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이 로드맵을 통해 오는 2014년 전국의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스마트그리드 거점 지구를 지정한다는 계획도 함께 밝혔습니다.
시 관계자는 "2013년도에는 스마트그리드 사업 참여자 신청을 받을 것으로 예상돼 준비에 들어간 것"이라고 밝혔고, 스마트그리드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망 구축을 위한 기술력을 제공할 기업과 여기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할 수요자가 필요합니다. 시는 LG그룹 측과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위한 협의를 벌이고 있습니다.
시는 해양도시라는 지역적 특성을 살려 항만이나 물류 등에 스마트그리드를 우선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신항만 등 상징성이 있는 특정 지역을 미니 스마트그리드 도시로 조성하는 것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시 김유찬 신재생에너지 담당은 "스마트그리드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전기를 절감함으로써 사용자와 참여 기업이 이익을 나눠갖는 개념이다"며 "산업적인 파급 효과 등을 고려해 스마트그리드 검점 사업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스마트그리드 거점 지구가 최종 완성되는 시기는 2020년께로 보인다. 정부는 국가 단위의 스마트그리드가 완성되면 2억3000만 t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5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2009년부터 2013년 5월 완공을 목표로 제주시 구좌읍 일대에 2300여억 원을 예산을 들여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Smart Grid > 스마트 그리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그리드 보급사업 본격 '시동' (0) | 2012.07.03 |
---|---|
유럽 회사들이 미국 ‘스마트그리드’의 케이크 한 조각을 원하고 있습니다. (0) | 2012.07.03 |
지경부, 2016년까지 200㎿ ESS 보급 (0) | 2012.07.03 |
스마트그리드 신재생 통합은 간헐적인 재생 에너지에 대한 두려움로 인해 지연되고 있습니다. (0) | 2012.07.03 |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은 적은 비용과 위험 부담으로 큰 수익을 약속합니다. (0) | 201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