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능형 전력망

스마트 워터 그리드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2가 물 부족에 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기후변화에 따라서 여름 때에 국지성 폭우로 인하여 빗물 유출량이 많아졌고 이에 따라 지속이용가능한 수자원 확보의 불확실성 등이 대두되었습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수자원 통합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지요. 이에 대하여 전력망과 IT기술을 연결한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를 활용한 ‘스마트 워터 그리드’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기존의 물 공급망에 IT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성,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물의 생산과 소비정보를 양방향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국토해양부 산하의 스마트 워터 그리드 연구단.. 더보기
'스마트그리드 5대 분야' 어떤 것이 있을까? (상) 현재 우리나라는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을 설정하고 그 분야를 5대 분야로 나누어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중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5대 분야는 어떻게 나뉘었고, 어떠한 목표로 추진이 되고 있는지 알아 볼까요? 스마트그리드에는 이렇게 '지능형 전력망', '지능형 소비자', '지능형 운송', '지능형 신재생', '지능형 전력서비스' 다섯가지 분야가 있습니다. 먼저 이번 편에는 '지능형 전력망'과 '지능형 소비자'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지능형 전력망 (Smart Power Grid) 지능형 전력망이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망의 신뢰도 및 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합니다. 지능형 전력망의 추진 목표는 다양한 형태의 소비 · 공급원과 연계가 자유로운 개.. 더보기
"정전대란 해법은 스마트그리드...최적지는 제주" 국회 정책간담회에서 정전대란의 해법으로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가 지목됐습니다. 지난 2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국회 신재생에너지 정책연구포럼'(에너지포럼) 창립 기념 정책간담회에서 서울대 문승일 교수는 '정전대란의 해법, 스마트그리드'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지난해 9월15일 발생한 순환단전 사태를 빗대 스마트그리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문 교수는 '9.15 사태' 원인에 대해 ▶비합리적 요금체계로 인한 전력수요 급증 ▶수요관리.수요반응 시스템 마비 ▶이상고온으로 인한 수요예측 실패 ▶양수발전소 등 예비력 운영 미흡을 들고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주고, 전력소비를 합리화시킬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현행 부하 관리 제도의 문제점으로 ▶규제에 의한 절전과 부하관리요금 .. 더보기
스마트그리드 비즈니스 모델 '아파트'가 돌파구 ‘초기시장 창출’이 스마트그리드업계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공동주택)가 단기간에 이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사업대상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아파트는 현재 스마트그리드 로드맵에서 제시한 5대 추진분야(지능형 전력망, 지능형 소비자, 지능형 운송, 지능형 신재생, 지능형 서비스)의 대부분을 사업화활 수 있는 모델이고, 여러 세대가 하나의 건물에 거주하고 있는 덕분에 AMI(지능형검침인프라)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능형 소비자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공용주차장에 충전인프라를 구축하면 충전설비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 아파트 옥상과 단지 내에 설치한 태양광, 풍력설비 등을 활용할 경우 지능형 신재생서비스도 가능합니다. 실제 LH는 지금까지 지식경제부와 함께.. 더보기
지식경제부, 스마트그리드 사업자 등록기준 및 절차 마련 세계 최초 입법화된 지능형전력망법의 시행을 위해 필요한 시행령 규칙에 대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하기 위한 ‘ 지능형 전력망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규칙 제정안‘ 공천회가 지난 2011년 8월 29일 삼성 코엑스 컨퍼런스 룸에서 열렸습니다. 이날 발표된 시행령에 다르면 지능형 전력망 기반구축 사업자는 자본금 30억원이상, 전문인력 10인 이상이어야 하며, 수요반응 서비스 제공사업은 자본금 5억원 이상, 기술인력을 보유해야 합니다. 시행령에는 지능형전력망 사업자의 등록기준, 거점지구 지정의 세부 절차사항 마련, 전기자동차 충전 등 관련 인프라에 대한 연구 개발과 투자 비용 지원근거 등을 담았습니다 거점지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여도, 국가경제 및 지역균형 발전 등을 종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