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 디지털타임즈>
‘초기시장 창출’이 스마트그리드업계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공동주택)가 단기간에 이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사업대상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아파트는 현재 스마트그리드 로드맵에서 제시한 5대 추진분야(지능형 전력망, 지능형 소비자, 지능형 운송, 지능형 신재생, 지능형 서비스)의 대부분을 사업화활 수 있는 모델이고, 여러 세대가 하나의 건물에 거주하고 있는 덕분에 AMI(지능형검침인프라)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능형 소비자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공용주차장에 충전인프라를 구축하면 충전설비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 아파트 옥상과 단지 내에 설치한 태양광, 풍력설비 등을 활용할 경우 지능형 신재생서비스도 가능합니다. 실제 LH는 지금까지 지식경제부와 함께 전국 36개 지구, 2만2096세대의 국민임대주택 등에 총 2876kW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 아파트에서의 지능형 신재생서비스 실증연구도 가능한 상황이며, 특히 아파트가 지능형 소비자·운송·신재생 등 여러 분야에서 단기간에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는 배경에는 이미 홈 네트워크를 위해 설치한 전용 통신망이 있습니다.
실증연구를 위한 별도의 통신망 구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예산과 시간을 그만큼 줄일 수도 있습니다.
LH 관계자는 “연간 30~50만호씩 아파트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정부가 2020년까지 소비자측에 대한 지능형전력망 구축을 완료하려면 결국 아파트에 대한 스마트그리드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면서 “이 부분이 충족되면 국내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외국에 수출할 수 있는 기회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스마트그리드 로드맵을 보면 2030년까지 가정, 빌딩, 산업체의 신재생 발전원을 통해 여분의 전기를 판매, 수익을 창출하는 프로슈머의 등장과 전력·수도·가스·인터넷·이동통신·TV·지능형 홈 등 융·복합서비스 제공을 예고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만약 아파트에 대한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완료하면 최소한 융·복합서비스를 위한 시간을 10년 이상 단축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하지만 현재 제주 구좌읍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에서는 공동주택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진한 상황입니다.
지능형 소비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KT컨소시엄이 제주 구좌읍이 아닌 제주시 아파트 200가구를 대상으로 일부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정도이고, LH가 올해부터 발주하는 분양주택에 실시간 전력소비 정보를 세대별로 제공하는 ‘전력소비 정보제공시스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정부 연구과제가 아닌 LH의 자체 예산으로 추진되는 개별사업입니다.
스마트그리드사업단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활용한 IHD 보급사업의 상당수가 아파트를 대상으로 진행됐기 때문에 AMI구축 과정에서 이 부분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제주도에서 진행되고 있는 실증사업에서는 제주의 주거특성과 사업예산 등을 고려할 때 아파트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Smart Grid > 스마트 그리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수익모델 개발 박차 (0) | 2012.03.15 |
---|---|
발목 잡힌 스마트그리드 연구메카 (0) | 2012.03.14 |
스마트그리드 성패, '초기시장 창출' 에 달려 (0) | 2012.03.03 |
지식경제부,하와이 주정부와 스마트그리드 협력 (0) | 2012.03.03 |
'지능형전력망협회'로 거듭난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0) | 2012.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