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EEE-SA

스마트그리드가 바로 제 3차 산업혁명! (상) 지난 해 경영학자이자 이시대의 사상가로 불리우는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 이 발간한 책 '3차 산업혁명'을 아시나요? 요즘 많은 사람들이 뜨거운 관심을 보이는 베스트 셀러인데요, 말 그대로 제레미 리프킨은 이 책에서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제 3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이야기 하였습니다. 제레미 리프킨 (Jeremy Rifkin)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을 넘나들며 자본주의 체제 및 인간의 생활방식, 현대과학기술의 폐해 등을 날카롭게 비판해온 세계적인 행동주의 철학자이다. 현재 워싱턴시의 경제동향연구재단(FOET)을 설립해 현재는 이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전세계 지도층 인사들과 정부 관료들의 자문역을 맡고 있으며 과학 기술의 변화가 경제, 노동, 사회,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활발히 집필 .. 더보기
사무엘 시아카 "스마트그리드 시장 확대 위해선 표준 기술 필수" 지난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던 '2012 코리아 스마트 그리드 위크' 모두 기억하시죠? 이곳에서는 국내외의 스마트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전력 사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 관련 행사 중 하나로 국내외 에너지 전문가들과 기업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국의 스마트 그리드 표준, 기술 개발과 실증 현황을 논의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국제 컨퍼런스’가 진행되었습니다. 글로벌 표준 인증기관인 IEEE-SA (국제전기전자표준협회)의 사무엘 시아카 스마트 그리드 워킹그룹 위원장이 ‘IEEE 스마트 그리드 상호 운용성, 글로벌 표준의 필요성’ 등을 주제로 강연을 펼쳐 많은 이들의 관심을 불러 모았어요. 첨단 사회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물적 가치 중 하나는 바로 '에너지'입니다... 더보기
스마트미터용 무선 국제표준규격 IEEE 802.15.4g 지난 2012년 4월 28일 IEEE가 스마트 미터용 무선국제표준규격 IEEE 802.15.4g를 정식 발효하였습니다.IEEE 802.15.4g는 스마트 미터, 스마트 홈용을 포함한 스마트그리드 기기간의 상호통신을 실현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국제표준규격입니다. IEEE-SA (IEEE 표준협회)는 1,300개 이상의 표준안과 개발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서 잘 알려진 것이 무선네트워킹을 위한 이 IEEE 802 표준이지요. ★ 스마트미터란? 시간대별로 사용량을 측정하여서 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시간대별 요금을 알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말합니다. 기존 전력 미터기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LCD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며, 전력 사용량 실시간 체크와 전력공급.. 더보기
스마트그리드 쉽게 알자! 스마트그리드란 '발전(發電)-송전·배전-판매'의 단계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단방향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가리킨다. 어떠세요? 스마트그리드, 글로 이해하기는 조금 어렵지 않나요?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발견한 쉬운 영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동영상의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스마트그리드는 한마디로 전기에너지의 흐름을 좋게해주는 똑똑한 시스템! 예를 들어서, 여름같이 에어컨을 많이 틀 때에는 전기 사용량이 늘어나서전기도 모자라게 되고 전기 요금도 오르게 되죠? 그래서 스마트그리드가 하는 역할은 전기 사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심야시간에 쓰지않는 전기를 '스토리지(storage)'에 .. 더보기
클라우드의 빠른 변화속도에 IEEE 상호운용성 초점 전력 저장 장치 업체인 디맨드 에너지 네트웍스(Demand Energy Networks)의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이자 개발 책임자인 로스 램버트는 "클라우드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런 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는 서적을 구입할 수 없을 정도”라고 전했습니다. 여기서 클라우드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탑이나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 벽걸이 컴퓨터, 휴대용 기기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패러다임"입니다. 현재 많이 이용하고 계시죠? 빠른 클라우드의 변화 속도 때문에 IEEE에서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IEEE-SA 는 컴퓨팅 플랫폼의 하나인 이 클라우드간의 이전과 관리, 상호운용성을 포괄하는 표준을 검토하고 표준화 하는 역할을 하구요. 이렇게 IE.. 더보기
'제3차 스마트그리드 위크'의 생생한 현장! (동영상) 지난 10월 30일 부터 11월 2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제3차 스마트그리드 위크 (The 3rd Korea Smart Grid Week)2012 월드 스마트그리드 엑스포 (World Smart Grid Expo 2012) 가 열렸습니다. 그 현장을 생생하게 담은 영상을 공개합니다!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월드 스마트그리드 엑스포! 참가자 분들을 위한 안내책자들이 보이는군요. 영상 뒷부분에서는 "국제 스마트그리드 표준협력 컨퍼런스"의 현장을 담고 있습니다. 이 곳에서는 국내외 전문가, 기업인들이 모여서 스마트그리드 기술개발과 실증사례, 국제 표준협력에 대한 성과와 최신 정보를 공유하였습니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장 서광현님의 환영사가 있었습니다. 각국에서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셨어요~ 글로벌 표준 .. 더보기
지금 코엑스에서는 '스마트그리드 위크' 행사가 진행중입니다~ 스마트그리드 세상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스마트그리드 위크(Korea Smart Grid Week) 행사가코엑스에서 30일부터 내달 2일까지 4일 동안 진행되고 있습니다. 올해로 세 번째인 이번 행사는 스마트그리드 분야 국내 최대 규모로개막식에 약 500여명이 참석하고 80여개의 국내외 기업ㆍ단체가 참여하는 ‘국제전시회’입니다! 스마트 그리드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말하는데요. 언제 어디서나 전력사용량과 전기요금을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할 수 있고,전력사용량을 아끼기 위한 최적화 작업을 찾아 줍니다.예를 들어 전기요금이 가장 싼 시간대를 실시간으로 찾아 자동으로 돌아가는.. 더보기
사이버 보안 : 지능형 전자 장치 최근 보고서는 해킹산업이 이익을 위해 보여주는 간극은 심각한 위협과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체들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똑똑한 전자 장비들의 사이버 보안을 제공하려 하는데, 어렵게 만든다 산업의 클라이언트와 그들의 기술자들에게 네크워크상의 모든 IED의 약점들과 사이버보안 계획을 이런 약점들에 최적화 시키는 디잔인을 이해시키기 위한 컨설팅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샘 시아카는 그의 주간 블로그(Insights on Power)에서 컨설팅 엔지니어의 지정은 IEEE1686, 포인트 파워에 대한 통찰력 표준 변전소 지능형 전자 장치 용 IEDs의 사양과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IED) 사이버 보안 능력 - 특히 내 사이버 보안 분야를 지정했습니다. IEEE1686에서 컨설팅 엔지.. 더보기
'모든 것의 인터넷'(IoT)와 스마트 그리드 인터뷰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IEEE 표준 협회의 IoT 포럼에서, 척 아담스 (2009-2010 IEEE-SA 의장), 닝 후아 (IEEE 중국 수석 대표) , 빌 애쉬 (IEEE-SA 전략적 프로그램 관리자)가 'IoT와 스마트그리드'라는 주제로 인터뷰를 했습니다. 표준과 스마트그리드 분야에서 최고를 달리고 있는 IEEE-SA의 대표급 인물들이 바라보는 IoT와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더보기
IEEE, 주요 글로벌 표준기관 함께 ‘Open Stand’ 원칙 서명 글로벌 표준 인증 기관인 IEEE-SA(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Standards Association, 국제전기전자표준협회)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인터넷 아키텍쳐 위원회 (IAB),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 (IETF), 인터넷 협회,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W3C) 등 주요 5개 국제 기관들이 함께 글로벌 표준 개발 공동 원칙인 ‘OPEN STAND(오픈 스탠드)’ 지지 서명을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원칙 지지 서명 참여 국제 기관들은 기타 세계 표준개발 기관들, 정부, 기업 그리고 기술 혁신 주도자들을 대상으로 위 원칙을 지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전했습니다. ‘오픈 스탠드’는 기술혁신을 원동력으로 하는 세계 시장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