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SA 썸네일형 리스트형 와이파이(Wi-Fi) 무선랜의 규격 IEEE 802.11을 소개합니다. IEEE 802.11은 쉽게말해서 무선랜(Wireless LAN)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선랜은 유선 케이블 대신에 전파(RF)나 빛(적외선) 등을 이용하여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으로서, 케이블의 연결없이 무선으로 랜(근거리통신망) 환경을 구현하는 개념입니다. 무선랜은 근본적으로 랜(근거리통신망)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휴대폰을 통한 무선인터넷과는 다른 것 입니다. 즉, 무선랜은 노트북이나 PDA에 무선랜카드만 장착하면 특정 지역 안에서 통신케이블에 연결하지 않고도 자유자재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지요. 이러한 무선랜의 개발 초기당시에는 각 기기 제조사마다 다른 무선랜 규격을 사용했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기기마다 호환성이 없어서 제대로 통신이.. 더보기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이란?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 BEMS :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이란? 건물내의 에너지 관리 설비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입니다.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은 에너지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을 절감 할 수 있도록 건물을 관리해주며, 건물의 실내환경과 설비운전 현황을 관리합니다. 스마트그리드에서 꼭 필요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지요! 특히 2011년 9.15 정전사태 이후로 갑작스런 정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 여러 기업들은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의 도입을 앞당기고 있습니다. 또한 국토해양부와 에너지관리공단도 '2012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시범 보급사업'을 실시하는 등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의 확대를 하고있다고 합니.. 더보기 그린카 그리고 전기차, 스마트그리드와의 관계는? 2010년 12월 정부는 제10차 녹색성장 위원회 보고대회에서 '그린카 발전 로드맵'을 발표했었습니다. 2015년까지 120만대의 그린카를 국내에서 생산하고 90만대를 해외에 수출하며 국내시장 점유율의 21%를 그린카로 만들겠다는 목표입니다. 그린카는 유해 가스와 CO2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시스템 또는 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무공해(Zero Emission) 동력 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 인데요, 녹색성장위원회에 따르면 그린카를 다섯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를 꽂아 충전하는 전기차(EV : Electric Vehicle)엔진으로 전기를 충전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 (HEV : Hybrid Electric Vehicle)전기차에 엔진을 추가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 Plug-in Hyb.. 더보기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다음주자는 어디? 우리나라 제주도에는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가 있습니다! 이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는 제주도 구좌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8년 12월부터 기본 설계를 시작, 인프라를 구축하고 2011년 6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는 스마트그리드의 지능형 소비자, 지능형 운송, 지능형 신재생에너지, 지능형 전력망, 지능형 전력시장 5개 분야가 모두 실증되는 세계 최초의 실증단지로 그동안 국내·외의 많은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또한 전력ㆍ통신ㆍ자동차ㆍ가전 등 스마트그리드 유관 기업들로 구성된 12개의 컨소시엄이 구성되어 있지요. 보시다시피 여러 기업들이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 참여를 하고있는데요, 5개 분야 ·.. 더보기 '제3차 IEEE 스마트그리드 월드포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 제3차 2012 IEEE 스마트그리드 월드 포럼 IEEE가 주최하는 세번째 2012 IEEE 스마트그리드 월드 포럼(SGWF : Smart Grid World Forum)이 오는 12월 6일에서 7일 이틀동안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IEEE 스마트그리드 월드 포럼(SGWF)은 스마트그리드의 진화를 위한 지원 및 홍보를 할 세계 각국의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위하여 구성된 글로벌 플랫폼입니다. 2012 IEEE 스마트그리드 월드포럼은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과 다른 전망들을 제공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곳에는 세계 스마트그리드에서 중요한 행사로서 정치, 산업 등 각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참석할 예정입니다.지난 2010년에는 브뤼셀, 20.. 더보기 IEEE-SA, 다른 표준화 기구와 어떻게 다른가 IEEE표준협회(IEEE-SA, IEEE Standard Association)는 IEEE(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에 속한 국제 표준 인증기관으로 글로벌 테크놀로지 개발 및 발전을 이끄는 선도적인 기관입니다. 전기, 전자 분야의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지요. 그러나 국제적인 표준화 기구가 IEEE만 있는 것은 아니에요. 수많은 표준화 기구들이 있고, 수많은 표준들이 존재합니다. 다른 기구들이 IEEE표준협회와 어떻게 다른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먼저 대표적인 국제 표준화 기구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있습니다. ISO는 1947년 설립,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비정부 기구이며 140개 이상의 국가의 회원이 있.. 더보기 스마트그리드2030의 미래, 어떤 모습일까 정부가 발표한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에 따르면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시범도시ㆍ광역시도 등 '선 거점구축, 후 확산전략'에 따라 2030년까지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를 구축완료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과연 2030년 우리의 스마트그리드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요? 스마트그리드 2030 미래에는 전력 인프라와 정보·통신 인프라가 융합된 고효율 차세대전력망이 될 것입니다. 현재는 위의 그림과 같이 일방적으로 발전→송전→배전→소비자 에 이르는 계층구조의 전력망이 구축되어 있지요.스마트그리드 시대에는 다양한 주체들이 소비자이자 공급자인 네트워크 구조의 전력망으로 변화할 것입니다! 또한 기존의 전력망은 전력공급만을 위한 인프라이지요, 그러나 2030년에는 가전·통신.. 더보기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이란? 여러분 스마트 그리드를 접하면서 ESS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죠? ESS는 Energy Storage System 의 약자이며, ESS는 바로 스마트그리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어요!앞으로도 자주 접하게 될 용어이기 때문에 확실한 이해를 도와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사전에서 ESS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ESS[Energy storage system]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장치를 말한다. 여기에는 전기를 모아두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관련 장치들이 있다. 배터리식 ESS는 리튬이온과 황산화나트륨 등을 사용한다. ESS는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인 미래 유망 사업이다. * 스마트.. 더보기 소비자 연계성을 위한 IEEE-SA 표준 적용의 예 현재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앞으로도 변화시킬 신기술들은 연계성을 기반으로 합니다. 신기술들과 신제품들이 잘 연계가 되면 전 세계의 제조업자, 개발자, 사용자들이 많은 가능성을 창조할 수가 있지요. 이러한 소비자 연계성을 충족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전에는 먼저 산업이 합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IEEE-SA (IEEE 표준협회)는 소비자 연계를 증진하는데 힘쓰며,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들의 상호 정보교환을 가능케하는 표준을 개발하도록 산업을 묶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IEEE-SA의 표준들이 신기술, 신제품들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 알아볼까요? 가정용 스마트 그리드 기기 표준 스마트그리드는 가정에 있는 기기들과의 연결이 중요합니다. 스마트그리드가 소비자와 연결되는 지점이 가정이기 때.. 더보기 전력난 극복, '스마트 그리드'로 해결하자 현재 전국의 23개 원전 가운데에 가동이 중단된 것이 7개에 이른다고 합니다. 4개 원전은 계획 예방 정비 중이지만, 월성원전 1호기와 영광원전 5,6호기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올 겨울의 전력 대란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올해 겨울이 평년보다 더 추울 것 이라는 예보가 나온데다가, 이러한 상태로 겨울철 난방수요가 한꺼번에 몰리게 되면 내년 초에는 예비전력이 바닥나면서 블랙아웃(대정전)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대안으로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스마트그리드'란?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전력망. - 스마트그리드란? ← 클릭!- 스마트..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