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rt Grid/스마트 그리드란

스마트그리드 주요국 정책수립 배경과 목적


스마트그리드 주요국 정책수립 배경과 목적






<IBM 스마트그리드 로고>


 현재 우리나라는 천연자원의 부족으로 대다수의 에너지원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고 에너지 과소비를 억제, 전력의 안정적 공급, 전력의 품질과 신뢰도 향상 등을 위하여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그리드는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수단인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한 중요한 기술이기도 하며 우리나라가 세계 녹색시장을 선점하는데 필요한 핵심기술이자 신성장 동력으로써 기대되는 사업입니다.


그렇다면 스마트그리드를 추진중인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스마트그리드 정책을 수립하게 되었을까요?



미국


 미국은 1975년 이후 매년 송전시설에 대한 신규 투자가 연평균 1억 1,700만 달러씩 감소하였습니다. 이렇게 전력 인프라가 노후화 되면서 송전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었어요. 이에따른 캘리포니아 대정전 사고(2001년), 뉴욕 대정전 사고(2003년) 등의 잦은 대규모 정전사고로 국가적 차원의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되었습니다.

1970년대부터 전력망 업그레이드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미국은 2003년 노후화된 전력생산·송배전시스템을 개선하고 전력망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Grid 2030'을 발표하였습니다. 2007년에는 법령을 정비, 2008년에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등 세계적으로 가장먼저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스마트그리드의 구축으로 전력공급을 안정화하고 전력망의 효율성을 향상하여 경제적 효과를 얻는것을 목적로 하고 있습니다.



일본


 일본은 이미 통신시스템으로 관리되는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은 송전망을 보유하고 있었어요. 때문에 미국이 추진하는 스마트그리드의 도입을 필요로 하지 않았고, 처음에는 스마트그리드 도입에 소극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구글, IBM, 인텔 등 미국의 IT기업들이 스마트그리드 사업에 경쟁적으로 참여하면서 이에 자극을 받은 일본은 관련 기술에 대한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그리드에 대하여 적극적 대응으로 방향을 바꾸었습니다.

온난화에 대응하고 에너지 안정공급을 확보, 재생가능 에너지의 원활한 도입과 효과적인 활용, 산업 경쟁력의 확보, 수용가 측과 일체화된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유효 이용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일본판 스마트그리드 TIPS(Triple I Power System)를 추진중입니다. 일본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태양광'과 '기술 개발'을 관련 정책의 테마로 설정하고 사업을 본격화 하는 중 입니다.

* Triple I : Intelligent, Interactive and Integrated



유럽


 


 유럽은 현재 기후변화협약에 적극 대응하고 다른 국가들에 비해 기술 우위에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지속적인 보급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위해 기존 전력시스템의 기능개선이 절실히 요구되었기에 스마트그리드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EU는 유럽 전역에 걸쳐 송배전을 효율화하고 국가간의 전력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2020년까지 전력망을 하나로 통합할 것이라고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북유럽, 북아프리가, 중동 등의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로컬 스마트그리드를 연결한 슈퍼 스마트그리드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유럽에 스마트그리드가 구축되면 화석연료로 인한 CO2 배출 감소 등 환경보호 효과와 에너지 이용 효율화로 인한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중국


 중국은 경제발전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여 에너지 수급과 소비구조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석탄자원이 북부와 서부지역에 76% 이상이 매장되어 있으나 에너지 수요는 경제가 발전한 중동부 지역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석탄 생산기지와 소비지역간의 수송거리가 멀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전력수요가 증가할 것을 고려, 석탄전력의 수송력 저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거리 고효율 전력수송 기술인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국은 현재 국가전력망공사 주관으로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송전과정 손실률을 6.6% 감소시키고 약 1100만km의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는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료 참고 = 정보통신산업진흥원>